# 귀멸의 칼날 주 순위 귀살대의 기둥 ‘지주’의 강함
* 본 내용은 약간의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원치 않으시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 ^^ *
* 본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
요즘 귀멸의 칼날 극장판 선공개로 인해 다시 귀멸의 칼날 뽕이 차오르고 있습니다. 귀멸의 칼날에는 여러 캐릭터들이 등장하지만, 귀살대의 기둥이라고 하는 9명의 주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 주들을 가지고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순위 매기기를 해볼까 합니다. 저 역시 순수혈통 한국인이니 만큼, 순위 매기기를 좋아하는데요, 개인적인 견해로 순위를 정해본 것이니 재미로만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TOP9 : ‘음주 – 우즈이 텐겐’

귀멸의 칼날 2기 ‘환락의 거리’편에서 메인 활약을 펼친 후, 멋지게 귀살대를 은퇴한 음주를 9위로 뽑아 보았습니다. 화려한 피지컬과 근육들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음악(소리)을 리듬으로 삼으며 호흡을 사용하는합니다. 하지만 다른 주들에 비해서 비교적 약한 편이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상현6 다키&규타로와의 싸움에서 탄지로 일행과 함께 싸우지만 많이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한쪽 팔과 눈을 잃으며 귀살대를 은퇴하게 되었습니다. 후에 같은 주인 ‘사주 – 오바나이’가 찾아와서 “비록 너 정도라도 없는 것 보다는 나아”라는 말을 하며 다른 주들에 비해 비교적 약하다는 것을 암시했기 때문에 9위로 선정 해보았습니다.
- TOP8 : ‘충주 – 쿄초우 시노부’

충주는 피지컬 적인 면에서는 주들 중에 최하위라고 보여집니다. 지주 중에서도 팔시름 순위는 최하위이며, 근력이 약하기 때문에 혈귀의 목을 베지 못해 찌르는 방식의 기술을 주로 사용합니다. 칼날 끝에 독을 품어 주로 독으로 혈귀를 죽이는 전투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런 기술이 하현 혈귀정도에게는 통했지만 상현혈귀 레벨에서는 큰 살상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위권에 선정 해보았습니다. 전투력만 따졌을 때는 음주가 더 높을 수 있지만 약등의 해독 지식을 가지고 있고, 서포트 포지션에서 함께 싸우게 되면 음주보다는 조금 더 활약도가 높은 것 같아 8위에 선정 해보았습니다.
- TOP7 : ‘연주 – 칸로지 미츠리’

연주 칸로지 미츠리는 근육의 밀도가 일반인의 8배인 특이체질을 갖고 있습니다. 때문에 기본적인 힘 자체가 다른 주들 중에서도 최상위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사용하는 일륜도 역시 근력이 많이 필요하는 검을 사용하는데 필요에 맞게 늘어나고 줄어드는 유연한 검을 이용해 혈귀와 상대하며 기술의 속도 또한 음주와 비견될 만큼 빠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전투에서도 상현4 최종 변신 조하쿠텐과의 대결에서도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며 상현혈귀를 상대할 만큼 강한 전투력임을 입증했습니다. 연주 역시 귀살대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주’의 자리에 오른 신참급인 만큼 잠재력 역시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TOP6 : ‘수주 – 토미오카 기유’

가장 논란이 많은 편인 수주 토미오카 기유를 6위로 꼽아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다른 주들에 비해 잘생긴 외모 + 메이저 호흡이라고 볼 수 있는 ‘물의 호흡’을 쓰는 이유로 약간의 버프를 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6이로 꼽아 보았습니다. 물론 기유 역시 강한 것은 분명하지만 최종국면에서의 활약이 조금은 미미한 편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독자적인 형까지 개발한 물의 호흡의 마스터로 강하지만 물의 호흡이 주로 방어적인 기술들에 치중이 되어있어 파괴력이 조금 떨어지는 측면이 있습니다. 독자 개발한 11형 역시 범위 안에 들어온 모든 공격들을 받아치는 기술로 방어적인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TOP5 : ‘염주 – 렌고쿠 쿄쥬로’

5위에는 아쉽게도 염주 렌고쿠 쿄쥬로를 선정하였습니다. 주들 중 가장 먼저 나와 일찍 죽어버리는 바람에 중위권에 선정하게 되었는데, 아마 최종국면까지 있었다면 반점, 혁도 등은 최소한 발현하며 최상위권에 랭크되지 않았을까 싶다. 렌고쿠는 주의 강함, 그리고 상현혈귀의 압도적인 강함을 몸소 보여준 캐릭터로써 작중에서 소비되지 않았나 싶다. 그래도 극장판 무한열차 편에서 보여준 상현3 아카자를 죽일 뻔 한 퍼포먼스 만으로도 충분히 높은 전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여 중위권인 5위에 선정하였습니다.
- TOP4 : ‘사주 – 이구로 오바나이’

사주 이구로 오바나이는 최종국면 전까지 이렇다 할 전투장면이 없어서 무게만 잡는 캐릭터로 까이다가 최종국면 이후 떡상한 캐릭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주 역시 충주처럼 작은 체구로 왜소한 몸을 가지고 있으며 팔씨름 순위 역시 8위인 근력 면에서는 하위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뛰어난 전투센스, 테크닉으로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며 싸우는 전투머신입니다. 무이치로가 혁도와 반점을 발현했다는 까마귀의 소식을 들은 것 만으로 반점을 발현시킬 만큼 지력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잔의 목을 처음 베기도 하였고, 잠깐이나마 내비치는 세계를 각성하는 등 귀멸의 칼날 내에서 강함을 인증 받는 3개를 모두 발현한 캐릭터이기도 하여 상위권에 선정하였습니다.
- TOP3 : ‘하주 – 토키토 무이치로’

노력충이 재능충을 이길 수 없는 이유.. 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이 바로 하주 토키토 무이치로라고 볼 수 있다. 검을 잡은지 단 두 달 만에 ‘주’의 자리에 오를 만큼 천재이다. 또한 상현5를 반점을 발현하며 혼자 쓰러트렸고, 상현1과의 대결에서 태초의 검사인 요리이치와 탄지로만이 쓸 수 있는 혁도까지 쓰게 되며 다시 한 번 천재성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냉철한 판단력까지 가지고 있는데, 단 번에 상대의 힘을 파악하고 몸이 뜻대로 움직이지 않음에도 정신력으로 상현1 코쿠시보와 대결하며 토벌에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코쿠시보와 몇 합 겨룬 풍주에 비해 하주는 단 1합도 겨루지 못하며 아직 어린 나이에 영글지 못한 기량인 것이 들어나 3위에 랭크하였다.
- TOP2 : ‘풍주 – 시나즈가와 사네미’

2위 풍주 시나즈가와 사네미는 생긴것만 봐도 괴짜 포스를 풍기며 싸움을 잘 할 것같이 생겼다. 풍주는 귀살대에 들어오기 전부터 혼자 힘으로 오니를 잡고 다녔고, 희귀혈 이라는 특이한 체질 때문에 오니를 상대하기도 좋은 체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많은 경험과 신체적 전성기인 21살로 가장 강력한 전성기에 최종국면에서 활약을 했다. 상현1과 싸울 때에도 반점도 발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시나마 비비는 등 코쿠시보에게 주들 중에서도 최상위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 TOP1 : ‘암주 – 히메지마 교메이’

어디서든 이견이 없는 1위 히메지마 교메이입니다. 키2m20cm, 몸무게130kg으로 피지컬적으로도 거대한 체격과 압도적인 신체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바위의 호흡을 사용하고, 무기로는 철퇴를 사용합니다. 사용하는 무기나 호흡 만큼 파괴력도 어마어마한데요 원피스의 패왕색 패기처럼 일반 오니들은 교메이를 보기만 해도 오줌지리고 도망을 갑니다. 귀멸의 칼날에 나오는 많은 인물들이 이미 교메이가 가장 강력하고 든든한 존재라고 수도 없이 말해왔고, 반점, 내비치는 세계 등 모든 각성을 하게되고 상현1과의 대결에서도 거의 호각을 다툴 정도로 강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상현1 코쿠시보는 그처럼 강한 검사는 300년 만이라고 이야기 할 정도입니다. 장님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모든 감각이 발달하여 정확한 상황 판단을 할 수 있으며, 재능뿐만 아니라 모든 전투능력이 풀로 찍혀있는 캐릭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9위부터 1위까지 귀멸의 칼날 9명의 주들의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로 만든 순위이고, 모든 주들이 다 저마다의 개성과 강력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의미 하지만, 그저 재미로 보며, 귀멸의 칼날을 조금 더 재밌게 즐기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의 대표 영화감독 왕가위의 대표작, 스타일 (0) | 2023.03.17 |
---|---|
(에에올)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평점, 줄거리, 후기 (1) | 2023.03.16 |
귀멸의 칼날 상현 능력 총정리 #2편 (상현3, 2, 1) (0) | 2023.03.06 |
귀멸의 칼날 상현 능력 총정리 #1편 (상현6, 5, 4) (1) | 2023.03.03 |
귀멸의 칼날 상현집결, 그리고 도공마을로 극장 후기, 스포일러, 쿠키영상 없음 (0) | 2023.03.03 |
댓글